내일배움캠프
WIL 1주차 정리
Leo(상원)
2022. 11. 6. 16:03
반응형
내배캠을 시작하자마자 미니 프로젝트를 끝맞히고 벌써 1주일이 지나버렸다.
사실 처음보는 사람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하기 때문에 많은 난항을 겪을거 같았는데, 생각 외로 좋은 팀원들과 만나 즐겁게 1주차를 끝맺은거 같다.
처음으로 Flask와 Pymogo같은 서버와 DB를 사용했는데, 역시 뭐든 배우면 좋다는 마인드로 즐겁게 배운거 같았다. 게다가 미니 프로젝트를 끝내고 내 결과물이 썩 맘에 들진 않아서, 개인적으로 코드를 리팩토링 해 볼 생각이다.
그래도 이 캠프에 장점이라면 항상 ZEP안에 튜터님과 매니저님이 상주해서 친해지기도 편하고, 물어보기도 쉽다는 것 이다. (슬랙 매니저님들도 답변이 빠르다!)
이제 내일이면 2주차에 진입하는데, 커리큘럼을 미리 확인해본 결과 JS와 Firebase를 배우는 것 같다. 알고리즘 Python도 한다 했던거 같기도 하고..?
결론은 뭐 나름 첫 주차라 어색한 것에 익숙해지는 시간을 가졌다 생각하며 재밌게 보냈던거 같다.
오늘의 공부 코드
위 본문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내 코드를 리팩토링 해보려고 한번 공부하며 연습 해 봤다.
def comment_post_service(uuid_receive, name_receive, comment_receive):
doc = {
"uuid": uuid_receive,
"name": name_receive,
"comment": comment_receive,
}
db.comment.insert_one(doc)
return doc
@app.route("/comment", methods=["POST"])
def comment_post():
uuid_receive = request.form['uuid_give']
name_receive = request.form['name_give']
comment_receive = request.form['comment_give']
comment_post_service(uuid_receive, name_receive, comment_receive)
return jsonify({'msg': '작성 완료!'})
python 파일을 하나 더 만들어서 app.py에 연결해서 구분감 있게 사용하도록 만들었습니다.
import os
from dotenv import load_dotenv
load_dotenv(verbose=True)
import pymongo
client = pymongo.MongoClient(os.getenv('key'))
db = client.dbsparta
Git에 올라갈 때에는 DB에 로그인 비밀번호 정보가 들어가면 안되기에 .env 파일에 빼주었습니다.
1주차 WIL 끝.
반응형